시나리오 이렇게 쓰면 재미있다.
어일선, 정태성, 2010년
1. 영상화 되는 소재란 무엇일까요?
테마(매력적인 콘셉트) = 소재 + 기획의도 + 주제 + 이야기
- 일단 재미있어야 한다.
- 지금까지 아무도 손대지 않은 것이라면 특별하다 : 쌍화점, 국가대표, 해운대, 차우
- 문제성을 가진것이라면 그 자체가 이슈가 될 수 있다 : 추격자, 거북이 달린다, 요가학원, 불신지옥
- 인간의 영원한 문제라면 공감을 가질 수 있다 : 말아톤, 연애의 목적, 아내가 결혼했다
- 관객이 바라는 소재라면 흥미를 일으킬수 있다 : 라스베가스에서만 생길수 있는 일, 로맨틱 아일랜드, 10억, 퍼펙트 겟어웨이
- 긴박감이 있다면 입소문을 탄다 : 그림자살인, 차우, 해운대
2. 영화속 인물 캐릭터를 만드는 방법입니다
- 캐릭터구성법 : 캐릭터움직임에 따라 진행되는 이야기 - 코믹, 멜로, 드라마
독창적인 캐릭터가 충돌하면서 이야기를 전개시킵니다 - 공공의 적
- 플롯구성법 : 사건에따라 움직이는 이야기 - 범죄, 스릴러, 공포, 액션
사건의 연결고리가 첨예하게 대립하며 이야기를 극적으로 풀어나갑니다 - 세븐
3. 매력적인 스토리란 무엇일가요?
앞으로 스토리가 어떻게 진행될까, 가슴졸이고 한편으로는 안타까워하면서 관객들은 이야기속으로 서서히 빨려 들어간다. 소재는 지극히 평범할수도 있지만 작가가 그것을 어떻게 발견하고 극화시키는가에 영화의 흥행성이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즉, 공감있는 이야기를 어떻게 풀어내느냐 하는것이 관건이다.
4. 구성의 방식을 알아두면 도움이 된다.
완성된 구조를 지닌 상업영화는 시작되고 15분을 넘지않아, 무슨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그리고 앞으로 벌어질 극적인 상황은 어떤 것인지를 관객들이 알아차릴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시나리오 장치들을 이용해야 한다.
- 뿌리기와 꽃피기, 발생과 결과, 아이러니
- 몽타주, 설명, 장애물, 복선, 영화적리얼리티
- 비주얼영화적장면, 아웃라인
- 마음을 드러내기, 오감의 시각화
5. 스토리란 이런것이다.
- 스토리는 모든 서사의 기본.
- 스토리는 본 이야기의 설계도.
- 스토리의 중심은 인물.
- 스토리의 인물은 성격과 행동성이 두드러져야 한다.
- 인물들은 세력을 형성하여 갈등을 만들어 낸다.
- 스토리도 확실한 플롯이 있어야 한다.
- 스토리 서두와 결말은 호응해야 한다.
- 스토리에서는 전체를 움직이는 장소가 중요하다.
6. 작가 지망생들이 알아야할 규칙들이 있다.
- 영화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처음'
; 영화에는 시작과 전개, 절정과 결말이 있다. 영화를 보다보면 시계를 보지 않더라도 영화가 얼마쯤 남았는지 또는 사건이 한번쯤 더 일어나겠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 말은, 이야기를 구성하는 방식을 어느정도 알고 있다는 얘기다. 영화는 시작 15분만에 관객을 사로잡아서 25분안에 본격적인 사건이나 상황을 벌여야 한다. 시나리오를 보는 최초의 독자에게도 10신에서 15신내에 이 시나리오의 진가를 알려야 한다, 그러니까 진짜 재미있다는 것을 알려주기 위해선 첫장면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이다.
- 성격만 확실하면 인물은 살아난다 : 미쓰홍당무
- 주제의식은 클라이맥스에서 보여줘라
- 산에 올라갔으면 산을 즐겨라 : 산에서 떨어지는 아픔을 치대한 공감시키려면 정상에서 떨어져야 한단거죠
7. 시나리오 핵심기술은요,
- 주인공과 목표 그리고 장애물을 설정해야 한다.
; 능동적인 주인공- 공공의적, 와일드카드
수동적인 주인공 - 해바라기
주인공이 살아있는 사람처럼 느껴지고 그의 고민이나 욕망이 관객에게도 절실하게 느껴질때 감정이입이 일어난다.
어떤일을 하려고 굉장히 노력해야 하고, 주인공이 능동적으로 움직여야 하지만 주인공이 그일을 성취하기가 대단히 어려워야 합니다. 주인공이 하는일이 장애물 없이 너무 쉽게되면 드라마 자체가 성립되지 않는다.
- 캐릭터간의 갈등
; 외적갈등과 내적갈등 - 말아톤, 달콤한 인생
외적갈등과 내적갈등이 동시에 보여질때 관객은 몰입할수 있다.
- 주제, 작가의 의도
- 통일성 : 장소, 시간, 행동
- 설명의 영화적 법칙
; 상황을 설명해야 할 때는 갈등, 유머가 있는 곳에 배치해서 관객이 흥미를 잃지 않도록 해야한다.
그러니까 가능한 뒤로 미루고 드라마틱한 임팩트가 최고조에 달한 순간에 설명을 넣기도 한다. 설명이 필요한 순간마다 다 알려주지 말고 국자로 한방울씩 떨어뜨려 준다면 관객은 계속 생각해야 하므로 몰입하기 좋은 방법이다.
- 아이러니의 재미
; 언어의 아이러니 - 범죄의재구성(사기범을 김선생으로 부르고), 달콤 살벌한 여인(칼질도 해본년이 잘하지 어제는 쑤시고 오늘은 썰고)
상황의 아이러니 - 달콤 살벌한 여인(몬드리안을 아세요? 읽어본적 있어요), 괴물(해드폰녀)
인지 아이러니 - 8월의 크리스마스(다림이 사진관에 돌을 던지는 장면)
출처 : http://blog.naver.com/moosups/70139104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