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ix6ix6ix
Adminstration Edit Skin Write Main Write Edit Skin Adminstration
As long as we lend to the beloved object qualities of mind and heart which we deprive him of when the day of misunderstanding arrives.

사신수와 사영수, 사흉수

 

사신수(四神獸) 또는 사방신, 사성수

좌 청룡, 우 백호, 북 현무, 남 주작.


사신(四神)은 동아시아에서 각 방위를 상징하는 청룡, 현무, 백호, 주작을 일컫는 말이다. 사수(四獸) 또는 사상(四象)이라고도 한다. 이들은 각각 동·북·서·남의 방위와, 여름·겨울·가을·봄의 계절을 주관한다고 여겨진다. 각 사신은 또한 하나씩의 오행및 색을 상징하기도 한다.


4신은 네 방위신(方位神), 즉 좌청룡(左靑龍), 우백호(右白虎), 전주작(前朱雀), 후현무(後玄武)를 뜻하는 것인데, 그 기원은 중국의 오행사상(五行的 天文說)에서 비롯.


사신, 방위, 계절, 오행, 색, 별자리, 생명

청룡, 동(東), 여름, 목(木:나무 목), 청색, 각·항·저·방·심·미·기, 유년

현무, 북(北), 겨울, 수(水:물 수), 흑색, 두·우·여·허·위·실·벽, 죽음

백호, 서(西), 가을, 금(金:쇠 금), 백색, 규·루·위·묘·필·자·삼, 노년

주작, 남(南), 봄, 화(火:불 화), 적색, 정·귀·류·성·장·익·진, 청년

황룡, 중(中), 환절기, 토(土:흙 토), 황색, 헌원, 중년

 

청룡(靑龍)

동방의 수호신. 푸른 용으로 상징되는 사신(四神) 또는 사수(四獸)의 사신의 하나.

푸른 불꽃을 휘감고 파멸을 막아다 준다고 한다는 동쪽의 신성스러운 신수. 고대에는 용은 만물 중 으뜸이며 용 중에서도 청룡이 가장 귀하게 인식되었다. 푸른빛을 띠는 용의 형상화. 동쪽 방위의 운, 목 기운을 맡은 태세신을 상징한 짐승으로 예로부터 무덤과 관 속의 왼쪽에 그렸고 계절로는 봄을 의미하고 또한 연호나 기, 강, 교, 산, 도 등 말의 머리에 붙여 쓰기도 한다.


동방의 7별자리를 대표하는 영물로, 용은 더듬이처럼 끝이 말린 뿔과 매끈한 이마, 길게 내민 혀, 넓고 뾰족한 귀와 찢어진 눈, 몸통 굵기의 꼬리, 기다란 몸뚱이에 비늘이 붙었고, 가시가 달린 파충류와 비슷한 모습으로 묘사된다.

즉, 날개(羽), 털(毛), 비늘(鱗), 갑옷(介)으로 이루어졌으며 용은 생겨나는 것의 조상(祖上)이다.

 

백호(白虎)

서방의 수호신. 백호는 호랑이에 바탕을 둔 상상의 동물로 청룡, 주작, 현무와 함께 사신을 이루어 신격화되었다.

민속에서 서쪽 방위의 지, 금기운을 맡은 태백신을 상징한 짐승으로 범의 모습으로 무덤 속의 오른쪽 벽과 관의 오른쪽에 그렸고 계절로는 가을을 의미한다.

 

서쪽에는 28수 중 규, 누, 위, 앙, 필, 시, 삼의 7개 성좌가 있는데‘앙’성좌는 호랑이가 다스린다고 한다. 일설에는‘삼’성좌가 백호였다고도 한다.


초기에는 머리와 세부가 호랑이와 같으나, 목과 몸통 꼬리가 가늘고 긴 파충류같이 그려지고, 6세기 이후에는 과장된 아가리와 부릅 든 붉은 눈, 위와 아래로 뻗은 희고 날카로운 송곳니, 앞으로 내밀어 쳐들어 올린앞발등이 절묘하게 조화를 이룬 사실성을 지닌 존재로 그려진다. 벽화에서 백호는 머리의 형상과 몸에 있는 파상형 줄무늬에 의해 청룡과 구별된다.

 

최근 털이 흰 호랑이를 백호라 부르기도 하지만, 본래 백호는 동양권의 신화나 설화에 나오는 상상의 동물을 의미한다. 백호는 오백 살이 되면 털빛이 하얗게 변하고 천 살이 되면 백호가 되어 천수를 누리는 동물이다. 허나 백호는 희긔종으로 가끔 1/100000 의 확률로 태어난다고 한다.

 

- 한국에서는 풍수용어로 사용된다. 즉 주산에서 오른쪽으로 뻗어나간 산줄기를 백호라 하고 그 안쪽에 있는 것을 내백호, 밖에 있는 것을 외백호라고 한다.

 

주작(朱雀)

남방의 수호신. 주조, 주오, 적오라고도 부르며, 붉은 새를 총칭한다. 고대 중국에서 하늘을 별자리에 따라 크게 다섯으로 구분하여 오관(五官) 또는 오궁(五宮)이라고도 하였다. 6척의 키를 연상케 하는 거대한 시조의 제왕으로 남방의 상징이자 양기를 나타내는 붉은색과 함께 힘찬 모습으로 표현된다. 불을 상징하며 길조와 벽사 장생불사의 의미를 담고 있다. 남방을 지키는 화(火)기운을 맡은 신으로 붉은 봉황을 형상화 하여 무덤이나 관의 앞에 그렸다.

 

계절로는 여름을 의미하고. 주조라고도 하며 붉은 봉황이라고도 한다. 그 때문인지 형태는 봉황과 거의 비슷하다. 또는 주작의 모습에 공작과 비슷하며 은빛을 띄고 있어 불새라고도 불리며 밤을 좋아하지 않는다고 한다. 봉황이 왕을 상징하는 것과는 달리 재주를 수호를 담당으로 하는 새로 현자나 기술자 등 재주를 가진자를 좋아한다고 한다. 청룡, 백호, 주작, 현무의 4신중 심판을 담당하는 재판관이기도 하다. 주작의 모습은 부분적으로 닭의 머리, 뱀의 목, 제비 턱, 거북의 등, 물곡기 혹은 공작의 꼬리, 다섯가지 빛깔의 화려한 색조를 지녔다고 전해진다.


인간은 하늘을 나는 새를 숭배하여 사냥의 대상에서 제외하였으며, 특히 죽은 사람의 영혼이 새를 타고 비상하여 저승으로 간다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새를 신의 심부름꾼이자 인간의 영혼을 천상으로 인도하는 사자의 역할을 담당한다고 여겼다.

 

방위      남(南)

만물      화(火)

황제      염제

계절      여름

음         정음

일자      병정

 

현무(玄武)

북방의 수호신. 하늘의 다섯개 구문인 오관(五官) 중 북관을 다스리는 신.

 

북쪽 방위의 수(水)기운을 맡은 태음신을 상징한 짐승 암수가 한 몸이고, 거북이와 뱀이 뭉친 형상으로서 계절로는 겨울을 의미한다. 북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현이라 하고, 뭄에 비늘과 두꺼운 껍질이 있으므로 무라고 한다. 현무는 물의 기운을 맡은 태음신이고, 계절로는 겨울, 색으로는 검정을 상징한다. 북방에 위치하여 평화를 상징하는 신성스러운 신수.

 

방위      북(北)

만물      수(水)

계절      겨울


앞의 4영수는 황룡과 더불어 오방신장이라고 불립니다. 그리고 이 영수들이 사방을 나타내는 신이 된 이유는 아직까지 밝혀지지않았지만 앞에서 말했듣이 고구려의 고분과 여러 신화, 유물을 통해서 그저 애니미즘 혹 중국에서 들어온 원시신앙의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원래의 영수들은 우리의 고대문화와는 관련이 깊었습니다. 삼국시대에 가장 널리 쓰이기도 했는데, 아마 불교가 들어오기 이전에는 아주 성행했다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특히 고구려 고분의 사신도와 전쟁을 하거나 제사를 지낼때 쓰이는 청동거울(혹을 구리거울)이나 깃발에는 영락없이 위의 영수가 쓰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사방신에 중앙에 하나를 더 첨가하여 오방신이라 하고

민속전반에 많이 쓰입니다.


무당들은 오방신장을 무신(巫神)으로 섬기며, 민간에서도 마을이나 읍락을 수호하는 역할을 가진 장승에 원용되면서 ‘오방오제축귀장군(五方五帝逐鬼將軍)’이라 불러 모시기도 합니다.


또한 오광대가면극놀이에서는 다섯광대가 각 다섯신의 탈과 복식으로 나와 노는 과정이 있죠. 이 오방신은 민속전반에 많이 믿어지고 있는 방위신이라 할수 있습니다.


풍수지리에 쓰이기도 합니다. 풍수지리 같은 경우에는 음양의 기운, 수맥과 지대 등이 필요하면서 이영수들을 쓰이게 되었다고 믿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영수들은 하늘은 나는 것(주작), 하늘로 승천하거나 땅을 기는 것(청룡), 땅에서 움직이는 것(백호), 물과 육지를 갈수 있는 것(현무)로 이루어져 있고, 각각의 동물들은 꿈혹 야망을 상징하는 것과(주작), 힘중에서도 우두머리의 힘을 가리키는 것과(청룡), 부를 상징하는 것(백호)과 마지막으로 전투력을 상징하는 것(현무)을 보아 인간이 바라는 점을 골고루 갖추다 보려고 하니 이런 영수들이 나타난 것이라 보여집니다.


신채호 단재선생의 '조선상고사'에 따르면 주작, 다시 말해 우리 나라의 봉황은 주신국 시절부터 우리 나라의 신수였다고 합니다. 이에 따라 우리 나라의 신수는 지금까지도 봉황이죠.

그래서 대통령의 상징이, 우리나라에선 신수 봉황입니다. 금일봉 봉투에도 금색으로 새 두마리가 좌우에 새겨져 있구요, 이름패도 마찬가지입니다. 봉황은 원래, 봉(수컷)과 황(암컷) 두마리가 한쌍으로 한쪽이 없으면 다른쪽은 살 수 없다고 하죠. 성인이 나타날때마다 먼저나와 알려준다고 하며 칭기스칸(테무친)이 족장회의에서 부족장으로 추대될때 나타나 울었던 오색의 새도 봉황이라고 합니다.(칭기즈, 칭기즈)하고 울어서 칭기즈칸(징기스칸, 칭기스칸)이라고 했답니다.



 

사영수

용 : 하늘과 땅을 이어주는 존재로 동물들의 우두머리

봉황 : 날짐승의 우두머리

거북 : 개충의 우두머리

기린 : 밑 짐승을 대표하는 신수


기린(麒麟)

기린은 용·봉황·거북과 함께 사영수(四靈獸)의 하나로 숭상되었으며, 특히 서수(瑞獸)와 인수(仁獸)의 표징물로 많이 그려졌다.


사령도에 다른 영물들과 같이 그려지기도 하고 단독으로 그려지기도 한다. ≪징상기 徵祥記≫에는 ‘모왈기빈왈린(牡曰麒牝曰麟)’이라 하여 수컷이 기(麒)이고 암컷이 인(麟)이 되는데, ≪설원 說苑≫에서는 기린을 하나로 취급하고 있어서 혼동을 일으킨다.


그 형상을 보면, 몸은 사슴과 같고 머리는 늑대와 같으며 발은 말과 같고 꼬리는 소와 같다. 또, 뿔은 하나뿐이라 하니 일각수(一角獸)라는 뜻이 된다. 주대(周代)부터 조형물의 소재로 등장하여 시대에 따라서 형상에 많은 변화가 생겼다.


조선시대의 기린도에서는 사슴의 몸에 용머리를 하고 마족우미(馬足牛尾)에 뿔을 머리에 하나 달고 있는 동물로서 묘사되었다. 기린은 용과 같이 청·백·적·흑·황의 오색으로 표현되며, 우리 나라에서도 어진 성인이 출현하고 세상이 태평해질 징조로 나타나는 길상영수(吉祥靈獸)로 묘사되었다.


이마에 뿔이 하나 돋아 있으며, 몸은 사슴과 같고 머리는 늑대와 같으며 발은 말과 같고 꼬리는 소와도 같다. 또 뿔은 하나뿐이라하여 일각수라고도 하며, 오색의 동물이라고도 한다. 상서로운 길조가 보일 때, 나타난다는 신령스러운 네가지 동물 사영수 가운데 하나이며, 성인이나 성군이 나타날 때, 미리 그 조짐을 알리기 위해 나타난다. 기린은 인을 머금고 의를 품고 있어, 소리는 종려에 들어맞고, 걸음걸이는 법도에 맞으며, 살아있는 벌레를 밟지 않고, 돋아나는 풀을 꺽지 않으며, 함정에 빠지지 않고, 그물에 걸리지 않는다.

 

용·거북·봉황과 함께 사령(四靈)이라 하며, 상서로운 동물로 인식되었다.

중국의 전한의 무제가 누각을 세워 이를 기린각이라고 하고, 공신인상을 각상에 건 이래, 남아는 국가에 공훈을 세워 자기의 화상이 기린각에 걸리는 것을 이상으로 여기게 되었다. 이에 연유하여 쓸데없고, 보람 없게 된 처지를 "성인 못 된 기린"이라는 속담으로 표현하며, 자질이 우둔하여 장래 기대할 것이 없을 때도 "우마가 기린 되랴"라는 속담을 쓴다. 또한 걸출한 인물에 비유하여 재주와 기예가 뛰어난 젊은이를 '기린아'라고 일컫는다.

 

고구려벽화와 통일신라시대 암막새기와 등에 문양으로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그림으로는 주로 조선시대의 민화에서 다루어졌는데, 매우 해학적인 모습으로 표현되어 있다.


기린은 덕인, 걸출한 인물, 장수의 출현을 상징한다.


사흉수(四凶獸)

사흉수라는 존재들로써 이들은 주나라의 서쪽지역에 살았습니다. 사성수와 달리 사흉수가 서쪽에 몰려 있는 이유는 당시 사흉수가 등장한 중국 주나라 시대에 서쪽지역에 견융이라는 오랑캐가 있었기에 서쪽은 금기시되는 불길한 지역이었습니다. 이에 사흉수도 서쪽 지역에 위치해있습니다.

 

이 사흉수는 모두 고대 제왕들의 자손이었으나 정권이 교체되면서 사흉이라는 존재로 전락당하고 말았습니다. 순임금때 서쪽으로 유배되어 변경의 오랑캐나 요괴들을 이른바 독으로써 독을 견제한다라는 의미로 서쪽 변경을 지키게 했으나 요순시대가 끝나고 평범한 군주가 등장할 때마다 악행을 저지르는 등 행패가 심했다 합니다.


혼돈(渾沌)

곤륜산의 서쪽에 위치한 혼돈은 개와 비슷한 모습에 온몸에 긴 털이 나있고 다리는 큰 콤의 그것과 비슷하나 발톱은 없다. 눈은 있으되 볼 수 없으며 귀가 있어도 듣질 못한다. 뱃 속에 오장은 없고 단지 식탐을 하는 장만 있을 뿐이다.

본래 혼돈은 고대의 제왕인 제홍씨 帝鴻의 자손 (제홍- 탕곡이라는 곳에 살던 신-) 이었으나 음험하고 험악한 성품때문에 요순시대에 곤륜 서쪽으로 쫓겨났다.


 

도올(禱兀)

중국 변경 서쪽에 있으며 사람의 얼굴에 호랑이의 몸을 가지고 있으며 40센티정도의 털이 전신을 뒤덮고 있다. 덩치는 호랑이보다 더 크며 멧돼지의 송곳니 그것을 가지고 있으며 3미터 길이의 꼬리를 지녔다. 삼황오제중 하나인 전욱고양씨의 자손이나 남의 가르침을 듣지 않으며 평화를 어지럽히고 폭력을 일삼키에 서쪽 변경으로 유배보냈다.



궁기(窮奇)

중국 서북쪽 외곽에 있으며 날개달린 호랑이의 그것과 흡사하다. 사람을 잡아먹는데 항상 착한이나 어진이만 해치고 악한이의 편을 드는 존재로써 고대의 제왕 소호씨의 자손이다. 역시 그 흉포함에 서북쪽으로 유배가게 된다.


도철(屠輟)

서쪽 변경에 사는 도철은 성스러운 제왕인 진운씨(염제 신농씨의 자손)의 후손으로 사람의 얼굴에 양의 몸을 지녔다. 호랑이의 송곳니와 양의 불이 달려있고 전신은 털이 나있다.

항상 늙거나 약한이만 죽이고 상대가 많으면 숨어 있다가 홀로 남으면 죽이니 강탈(강제로 빼앗다), 능약(약한이를 괴롭힌다)이란 별명을 지녔다.

항상 탐욕이 넘쳐 나므이 재산을 빼앗을 뿐 일을 하지 않아 후세사람들이 경계하고자 그 내용을 그릇에 새겨 훈계로 삼으니 청동기 유물에서 자주 보이는 도철문이 바로 그것이다.



2013. 5. 17. 22:50